2010년 6월 30일 수요일

길냥이 먹이 주기

사진출처

 

길에서 사는 고양이의 애칭을 '길냥이'라 하는 모양이다. 이는 전래의 이름 '도둑 고양이'를 대체해나가고 있다. 음식을 밖에 내놓는 일이 줄어든 요즘에 그들을 도둑이라 부르긴 억울한 면이 있다.

 

언제부턴가 사람이 세운 도시 곳곳에 그들의 생태계가 열렸다. 특히 서울이란 도시엔 어지간해선 풀 한 포기까지 사람의 손에 비롯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들 또한 오늘에 와서는 사람에 비롯했다고 봐야 한다.

이 땅에서 동물 애완의 전통은 꽤 오랜 편이지만, 이 또한 '서구화' 되기로는 얼마 되지 않았다. 이는 독신남, 독신녀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독신이란 식구 없이 혼자 사는 남녀를 뜻한다. 때로 잔존한 대가족 관계에서는 출가하지 않은 성년의 자녀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성년이 되면 독립한다'는 서구의 룰이 '혈연은 특별하다'는 우리의 룰과 아직 상생하는 까닭이다.

 

소위 '결혼적령기'가 최근 십수년 사이에 20대 중반에서 30대초까지 상승한 것은 다시 말해, 평균적인 독신의 기간이 연장되었음을 뜻하고, 이는 그만큼 그 사회를 흐르는 외로움의 양이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수요의 증가는 반드시 공급을 초래하므로, 외로움을 해소할 방법으로써 동물애완이 도입된다. 그리고 그만큼 버려지는 동물도 늘어난다.

 

개의 경우, 아직 식육의 전통이 남아 있고 집단 사냥을 하는 개의 습성상 도시에서의 먹이활동이 어렵다. 따라서 살아남기도 어렵다. 그러나 고양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잘 길들여지지 않는, 스스로 사냥하는 짐승이다. 그러고보면 서울의 밤거리에서 쥐를 본 지 꽤 오랜 듯하다.

 

쥐는 전염병과 깊은 관련이 있고 인간의 도시에 극히 잘 적응한다. 그런데 어느새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수거 시스템이 구축되었고(먹이 감소), 거리 곳곳엔 굶주린 고양이들이 풀려났다.(포식자 증가) 쥐들도 살아남기 참 팍팍해졌다. 길냥이들의 공이 크다고 본다.

 

도시가 길냥이에게 친절해질수록 사람에게도 이롭다.

 

 

 

 

댓글 1개:

  1. 우와... 여러 가지로 고양이 들에 관해서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데 이런 도시생태가 존재하는군요!

    답글삭제